주식기초2 – 주식차트 보는 법

오늘은 주식을 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하는 주식차트 보는 법에 대해 이야기할까 합니다. 주식차트는 시각적으로 바로 주가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서 주식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주식차트는 여러종류가 있지만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차트는 봉차트 입니다. 아마 주식을 모르는분들도 뉴스나 인터넷을 통해 종종 보셨을 차트입니다.

주식차트 보는 법 첫 번째 : 양봉과 음봉

봉차트

위의 이미지와 같은 차트를 봉차트라고 합니다. 봉차트에서 빨간색봉을 양봉이라고 부르고 파란색봉을 음봉이라고 부릅니다.  양봉은 상승을 음봉은 하락을 의미합니다.

주식차트봉차트

양봉 하단 꼬리 밑부분은 그날 최저가, 상단 꼬리 윗부분은 최고가를 의미하고 두터운 몸통 윗부분은 종가, 밑부분은 시가를 의미합니다.  음봉은 위의 이미지처럼 몸통부분이 반대로 되있습니다.

봉차트는 시가에서 종가가 어떻게 변하냐에 따라 색이 정해지는데 시가보다 종가가 상승하면 양봉이 되고 시가보다 종가가 하락하면 음봉이 됩니다.

몸통에서 튀어나온 꼬리는 시가 종가와 상관없이 그냥 최고가와 최저가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최고가와 최저가가 시가나 종가와 일치하면 꼬리가 없는 봉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a: 양봉의 몸통 길이가 짧다는것은 상승폭이 적었음을 의미하고 음봉의 경우엔 하락폭이 적었음을 의미합니다. 꼬리의 길이는 상단은 시가와 종가 하단은 시가와 저가의 폭을 나타냅니다. 이게 길었다면 최고(최저)가와 시가(종가)의 격차가 컸음을 의미하죠.

b:윗쪽 꼬리가 보이지 않습니다. 왜일까요? 바로 시가와 고가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곧 상승 없이 쭉 하락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죠. 만약 모양 그대로 양봉이었다면 종가와 고가가 일치한다는것은 장이 상승하는 상황에서 마무리된것으로 좋은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주죠.

c:b와 마찬가리로 윗쪽 꼬리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시가와 고가가 일치하는것 즉 상승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하단의 꼬리가 길다는것은 저가를 찍고 상승하여 마무리됐음을 보여줍니다.

 

주식차트 보는 법 두 번째 : 봉차트의 여러형태

봉차트의 모양이 만들어지는데 가장 중요한것은 ‘시간’일 것입니다. 언제부터 언제까지의 상황을 담아내느냐에 따라 모양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봉차트는 분봉, 일봉, 주봉, 월봉으로 나눠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식차트를 분석할때는 여러각도로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자신에게 필요한 봉차트를 체크하시면 됩니다.

아래는 다음주식 종합차트 검색에 KODEX 200선물인버스2X의 분봉, 일봉, 주봉, 월봉 차트입니다.

봉차트-분봉
분봉
봉차트-일봉
일봉
봉차트-주봉
주봉
봉차트 - 월봉
월봉

위의 차트를 보면 알수 있듯이 정해진 시간동안의 변화값을 봉으로 표현해서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하단에는 시간이 표시되기 때문에 언제 만들어진 봉인지 체크할 수 있습니다.

 

주식차트 보는 법 세 번째 : 거래량 확인

위에 올린 분봉, 일봉, 주봉, 월봉 차트를 보면 아래 초록색 막대그래프가 있는데 이건 거래량을 나타냅니다. 봉그래프와 마찬가지로 분, 일, 주, 월로 분류해서 거래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

거래량은 주식 수급상황을 나타내주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체크해야합니다. 거래량이 많다는건 어떤 이슈가 있다는거고 그것은 중요한 투자의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주식차트 보는 법 네 번째 : 이동평균선과 골든크로스

이동평균선이란 특정기간동안 주가의 평균치를 선으로 이어놓은 선을 말합니다.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로 나눠서 그 기간동안의 평균값을 이어놓음으로써 전체 주식의 흐름을 보여줍니다.

이동평균선

위의 그림은 다음주식에서 KODEX 200선물인버스2X의 이동평균선을 가져온것입니다. 주황색은 120일, 보라색은 60일, 빨간색은 20일, 초록색은 5일, 노란색은 종가를 나타냅니다.

골든크로스

골든크로쓰란 위의 지표에서 하늘색 사각형 안을 보시면, 단기 이동평균선이(초록색,5일) 장기 이동평균선(주황색등)을 교차하여 상승하는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이 교차지점을 골든크로쓰라고 합니다.

골든크로쓰는 최근의 주가가 과거의 평균주가보다 급격히 상승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통 투자자들은 이것을 매수 신호로 받아들입니다.

반대의 개념으로 데드크로스가 있습니다. 데드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이평선과 교차하여 떨어지는것을 의미하여 골든크로쓰와는 정반대로 최근 주가가 과거의 평균주가보다 떨어지는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통 매도해야할 상황이라고 말합니다.

물론 매수, 매도타이밍은 어디까지나 대체로 그렇다는것을 의미할뿐 그 이상의 의미는 없습니다. 주식 시장의 상황은 워낙 변수가 많기 때문에 그때그때 상황에 맞는 판단을 하셔야 합니다.

 

마무리..

여기까지 주식차트 보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식차트는 앞으로 주식을 하면서 일상적으로 마주하게될 것이기 때문에 완벽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시는것이 좋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